목차
매년 5월이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특히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부업으로 소득이 있는 직장인이라면 꼭 챙겨야 할 중요한 세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방법, 준비서류, 절세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종합소득세는 말 그대로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소득을 모두 합산하여 내는 세금입니다.
단순히 사업소득뿐만 아니라 이자, 배당, 근로, 연금, 기타소득까지 포함됩니다.
사업소득 | 자영업자, 프리랜서 소득 등 |
근로소득 | 직장에서 받는 월급 |
이자소득 | 예금·적금·채권 이자 등 |
배당소득 | 주식 배당, 펀드 수익 등 |
연금소득 | 국민연금, 퇴직연금 수령 등 |
기타소득 | 강연료, 사례비, 복권 당첨금 등 |
※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별도로 과세되므로 종합소득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2025년 종합소득세를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방법
간편 신고 가능 (단, 소득 단순한 경우만 추천)
소득이 많거나 복잡한 경우 추천
사업소득 관련 증빙 | 매출 자료, 경비 증빙, 세금계산서 등 |
원천징수영수증 | 프리랜서, 강사, 유튜버 등 |
연금·이자·배당 내역 | 금융소득 보유자 |
가족관계서류(공제 대상 확인) | 인적공제 대상자 |
기부금 영수증, 의료비 영수증 | 세액공제 항목 |
※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불러오기 기능 활용 가능
무신고 가산세 | 납부세액의 최대 20% |
과소신고 가산세 | 최대 40% |
납부지연 가산세 | 하루에 0.025%씩 |
※ 미신고 시 향후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신고 권장
Q. 전업 주부인데 블로그 수익(애드센스 등) 200만 원 있어요. 신고해야 하나요?
👉 네. 기타소득이 연 300만 원을 초과하거나 계속적이라면 신고 대상입니다.
Q. 3.3% 떼고 받은 프리랜서 수입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원천징수는 ‘예납’일 뿐 최종 세금은 신고 후 확정됩니다.
Q. 직장인인데 주식 배당소득 2천만 원 있어요. 종합과세 대상인가요?
👉 네.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을 초과하면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합니다.
처음 종합소득세를 접하면 어렵고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홈택스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셀프 신고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정확한 자료 준비와 절세 항목 체크로 불필요한 세금을 줄이고,
꼭 필요한 신고를 제때, 정확하게 마무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