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도대체 얼마까지 돼야 신청 가능한 거야?”
청년월세지원 신청 시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이 바로 ‘소득 기준’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와 함께,
건강보험료 기준 해설, 소득 산정 기준, 가구원 수별 금액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청년월세지원 신청 전 꼭 참고하세요!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100%로 본 기준선입니다.
청년월세지원에서는 이 기준의 150% 이하여야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자 본인뿐 아니라 같이 사는 가구원의 소득도 포함하여 판단합니다.
1인 가구 | 2,077,892원 | 3,116,838원 |
2인 가구 | 3,447,989원 | 5,171,984원 |
3인 가구 | 4,434,944원 | 6,652,416원 |
4인 가구 | 5,396,311원 | 8,094,467원 |
5인 가구 | 6,316,753원 | 9,475,129원 |
📌 청년 1인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약 311만 원 이하이면 소득 조건 통과입니다.
단,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 기준이므로 실제 월급과 다를 수 있습니다.
청년월세지원의 소득 판단은 **신청자 본인과 부모 또는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1인 가구 | 약 113,190원 이하 | 약 109,329원 이하 |
2인 가구 | 약 186,717원 이하 | 약 188,573원 이하 |
3인 가구 | 약 240,356원 이하 | 약 250,275원 이하 |
4인 가구 | 약 297,348원 이하 | 약 304,318원 이하 |
📌 신청 시 제출하는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와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통해 확인합니다.
✅ 중위소득 150% 이하로 통과 → 신청 가능
✅ 중위소득 기준 약간 초과 → 신청 불가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 직장가입자 여부 확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 실제 보험료 금액 확인 |
소득금액증명원 (필요 시) | 홈택스 | 사업소득·기타소득 확인용 |
네. 보건복지부가 매년 8월쯤 다음 해 기준을 고시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보험료로 판단하지만, 사업자/프리랜서/기타소득자는 추가 서류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가 없는 임대차계약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꼭 받아야 합니다.
중위소득 150% 기준 | 1인 가구 월 311만 원 이하 |
판단 기준 |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 |
1인 가구 기준 보험료 | 약 113,190원 이하 |
부양 가족 소득 포함 여부 | 부모와 따로 살아도 포함될 수 있음 |
서류 | 건강보험 관련 2종 필수 제출 |
청년월세지원은 단순히 “소득이 적으면 된다”가 아닙니다.
정확한 중위소득 기준과 건강보험료 금액까지 맞아야
지원 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 내 소득이 얼마인지 헷갈린다면
✔️ 보험료 납부 금액이 애매하다면
지금 바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고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