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제청 창업을 준비하는 초보 사장님이라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이 바로 '원가계산'입니다.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재료비만 생각해서는 안 되고, 병입, 스티커, 인건비, 고정비까지 고려한 총원가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수제청 원가계산을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단계별로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수제청의 원가는 대부분 ‘재료비’에서 시작합니다. 여기에는 과일, 설탕, 레몬즙, 허브류 같은 첨가 재료가 포함되죠. 예를 들어 딸기 수제청 1리터를 만든다고 할 때, 필요한 딸기 600g, 설탕 500g, 레몬즙 50ml 정도가 소요됩니다. 이때 딸기의 시세는 계절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1kg에 6,000원이라 가정하면 600g은 약 3,600원입니다. 설탕은 3kg에 3,000원이면 500g은 500원, 레몬즙은 소분해서 쓰는 제품을 기준으로 50ml에 200원 정도입니다.
이 외에도 계량 시 사용되는 재료 소모분을 여유 있게 5% 정도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즉, 실제 재료비는 단순합산보다 조금 더 여유를 두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대량 구매 시 단가 절감이 가능하므로, 월별 예상 판매량에 따라 재료 구매 계획도 함께 수립해야 원가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초보 사장님들이 흔히 놓치는 부분이 바로 '부자재 원가'입니다. 수제청은 병에 담아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병이 단가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인 500ml 유리병 기준으로 단가는 500~700원 선이며, 여기에 스티커 라벨, 뚜껑, 방습 실링 등 추가 비용이 더해집니다.
예를 들어 1병당 라벨 제작비가 200원, 실링 및 기타 포장재가 150원이라면, 병당 부자재 원가는 약 1,000~1,200원이 됩니다. 이 비용은 단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드시 계산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포장 방식(종이박스, 쇼핑백 등)에 따라 추가 포장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온라인 판매 시 택배박스, 완충재 등도 별도 계산되어야 합니다. 이 모든 부자재 비용을 단위 상품(예: 1병) 기준으로 나누어 계산해두면 정확한 단가 산출이 가능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수제청 원가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정비'와 '인건비' 반영입니다. 주방 임대료,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소모품비, 위생용품, 소독약, 세척제 등 다양한 고정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비용은 월 단위로 집계해두고, 예상 생산 수량으로 나눠 1병당 부담 비용을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한 달에 주방 임대료 30만 원, 기타 관리비 10만 원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총 40만 원이 고정비입니다. 만약 월 500병 생산이 가능하다면, 병당 고정비는 약 800원이 되죠. 여기에 인건비까지 포함하면 더 정확한 총원가가 나옵니다. 본인이 직접 작업하는 경우는 무급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추후 외주 인력을 쓰게 될 경우 시간당 인건비 기준으로 환산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총원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총원가 = 재료비 + 부자재비 + 고정비/생산수량 + 인건비
이렇게 산출한 원가를 바탕으로 마진을 붙여 최종 소비자 판매가를 결정해야, 손해 보지 않는 창업이 가능합니다. 보통 수제청 판매가는 원가 대비 2.5~3배 수준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제청 창업은 소자본으로도 시작할 수 있고, 제품력만 있다면 충분히 승산 있는 아이템입니다. 하지만 수익을 내려면 ‘원가계산’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재료비부터 고정비까지 꼼꼼히 따져보며, 정확한 원가 산출을 통해 수익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초보 사장님들도 이 가이드를 따라 하나하나 계산해보며 탄탄한 사업 기초를 다져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