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준중위소득표로 보는 복지수급 가능성

by 오행자1 2025. 7. 3.
반응형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로 내 복지자격 바로 확인하기

정부 복지제도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용어, 바로 **‘기준중위소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중위소득 몇 % 이하여야 하나요?”,
“청년 월세지원 받을 수 있을까요?” 등
대부분의 복지 수급 기준은 기준중위소득 몇 % 이하로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2025년에는 내 가구 소득이 몇 %에 해당하고,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2025 기준중위소득표를 바탕으로 복지 수급 가능성을 진단하는 방법
가장 많이 활용되는 복지제도별 소득 기준을 총정리해드립니다.

 

기준중위소득표로 보는 복지수급 가능성
기준중위소득표로 보는 복지수급 가능성

 

1.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정부는 매년 통계청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산출하며,
각종 복지제도의 지급 여부와 대상자를 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쉽게 말하면,
내 가구 소득이 기준중위소득의 50% 이하이면 생계급여 대상이 될 수 있고,
100% 이하이면 청년월세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가구원 수기준중위소득 100%50%60%70%120%
1인 가구 2,161,938원 1,080,969원 1,297,163원 1,513,356원 2,594,325원
2인 가구 3,589,306원 1,794,653원 2,153,584원 2,512,514원 4,307,167원
3인 가구 4,626,947원 2,313,474원 2,776,168원 3,238,863원 5,552,336원
4인 가구 5,644,689원 2,822,344원 3,386,813원 3,951,282원 6,773,626원
5인 가구 6,628,104원 3,314,052원 3,985,492원 4,656,673원 7,953,725원
6인 가구 7,576,620원 3,788,310원 4,545,972원 5,303,634원 9,091,944원
 

TIP: 내 소득이 어느 %에 해당하는지 알면, 받을 수 있는 복지제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습니다!

3. 내 소득 수준 확인하는 법 (소득인정액 계산법)

 

복지제도 신청 시에는 단순 월급이 아니라, **‘소득인정액’**이라는 개념이 사용됩니다.
이는 실제 월소득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예시 계산

  • 월소득: 180만 원
  • 재산: 3,000만 원
  • 재산 소득 환산액: 3,000만 원 ÷ 135 = 222,222원
    소득인정액: 약 2,022,222원

※ 이 수치가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의 몇 %인지 비교해보면, 해당 제도 수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복지제도별 기준중위소득 % 비교표

 

제도명기준중위소득 기준비고
생계급여 30% 이하 최저 생계지원
의료급여 40% 이하 본인부담 대폭 완화
주거급여 50% 이하 월세 지원 등
교육급여 50% 이하 학용품비·교복비 등
긴급복지지원 75% 이하 단기 위기상황 대상
에너지바우처 60% 이하 + 특정 조건 여름/겨울 냉난방비 지원
부모급여 소득 무관 보편 지급
아동수당 소득 무관 만 7세 미만
청년월세지원 100% 이하 최대 20만 원 × 12개월
청년내일저축계좌 100% 이하 매칭형 저축지원
차상위계층 50~120% 이하 다수의 혜택 존재
 

5. 복지 수급 가능성 자가진단 방법

복지로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활용법

  1. 복지로 접속 (www.bokjiro.go.kr)
  2. 메뉴: [모의계산 > 복지서비스 간편조회]
  3. 가구원 수, 소득, 재산 입력
  4. 나에게 맞는 복지 목록 자동 추천

📌 복지로 모바일 앱에서도 가능하며, 가족 구성원 정보를 저장해 매년 갱신도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바뀌나요?

👉 네. 통계청 자료 기반으로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가 이루어지며, 물가·소득 변화를 반영합니다.

 

Q2. 공시된 내 소득이 100% 이하인데 왜 탈락했을까요?

👉 소득인정액 계산 방식, 가구원 제외(주거지분 있는 부모 등), 재산기준 초과 등의 사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Q3. 100%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복지는 없나요?

👉 있습니다. **다자녀 지원, 고령층 돌봄 지원, 보편적 제도(아동수당, 부모급여 등)**는 소득과 무관하게 제공됩니다.

 

 

📝 마무리 요약

  • 기준중위소득은 모든 복지제도의 핵심 기준
  • 2025년 기준표를 통해 내 가구가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 가능
  • 복지로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기능 활용 추천
  • 50~100% 구간 사이에 해당하는 제도가 가장 많음
  • 소득이 낮지 않아도 받을 수 있는 복지 다수 존재

 

🔗 함께 보면 좋은 글


📣 나의 복지 수급 가능성, 중위소득표로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단 1만 원 차이로 혜택을 놓칠 수도 있고, 모르고 못 받는 복지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 바로 중위소득표를 확인하고, 복지로에서 진단해보세요!

반응형